본문 바로가기
엄마찾아 삼만리 여정/엄마집 관리

전세 계약 기간 4년인가요?

by 소공녀의 별 2025. 2. 6.

예전에 전세 계약이 1년 단위로 재계약 갱신을 하는 시절이 있었는데요. 언제부터인가 주거안정을 위해 2년 계약으로 연장이 되었지요. 최근에 세입자가 사망하면서 새로 세입자를 찾으려고 알아보니 전세 계약 기간이 4년이라고 해요. 최대 4년이 맞을까요?

 

전세 계약 기간 4년 

임차인은 임대차 보호법에 따라 최대 4년간 거주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되어요. 어떻게해서 4년 계약이 가능할까요?

 

최초 계약 2년 + 갱신 2년

임차인은 최초 계약시 2년과 갱신 2년으로 최대 4년 동안 주거 안정을 꽤할 수 있어요.

 

장기 거주 계획

임차인이 4년 이상 장기 거주를 원할 경우 임대인과 별도 합의하거나 묵시적인 갱신제도를 활용할 수 있어요. 즉 기본적으로 4년을 보장받을 수 있는 시스템이어서 거주 안정을 위한 계획을 잘 고려해야겠지요?

 

전세 계약 묵시적 갱신

최대 4년의 전세 계약에는 묵시적 갱신이 동반됩니다. 임차인과 임대인이 별다른 갱신의사를 표시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성립되는 갱신입니다. 다음을 클릭하세요.

 

전세 재계약 묵시적 갱신 가능할까?: https://stella-mum.tistory.com/168

 

전세 재계약 묵시적 갱신 가능할까?

전세 계약 최초 2년이 만료되고 임차인과 임대인이 별다른 갱신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면 어떻게 될까요? 전세 재계약 묵시적 갱신 가능할까?전세 계약 만료 후 임차인과 임대인 상호간 별도

stella-mum.tistory.com

 

728x90
반응형
LIST